안과의사가 시골사람에게 말했다.
"당근은 눈이 나쁜 사람에게 아주 좋은 야채입니다."
"그걸 어떻게 알죠?"
"간단합니다. 안경 낀 토끼나 당나귀를 본 적이 없으니까요."
"당근은 눈이 나쁜 사람에게 아주 좋은 야채입니다."
"그걸 어떻게 알죠?"
"간단합니다. 안경 낀 토끼나 당나귀를 본 적이 없으니까요."
유비추론이 들어있는 유머 한토막.
(전제) 당근을 잘 먹는 토끼나 당나귀는 시력이 좋다.
(결론) 그러므로 당근은 사람의 눈에도 아주 좋다.
과학자들은 '천왕성 바깥에는 해왕성이 있다. 그러므로 해왕성 바깥에도 어떤 행성이 있을 것이다'와 같은 유비추론을 근거로 하여, '명왕성'이라는 행성을 발견했다.
이미 알고 있는 비슷한 사실을 근거로 해서 유사한 다른 것에 대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추론이 바로 유비추론이다.
유비추론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근거로 비슷한 다른 사실에 대해서도 설득력 있는 결론을 주장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유비추론은 새로운 발견이나 새로운 학설의 창안에 귀중한 영감을 제공하기도 한다.
(출처/참고 : 논리를 모르면 웃을 수도 없다 by 박우현 )

분류 : 공부 2008. 12. 12. 13:26
제목 : 유비추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