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장들이 올바른 연역적 추론인가
어떤 행위가 범죄로 성립되기 위해서는 그 행위가 형법이 정하는 범죄 형태에 합치하고, 법을 위반해야 한다.
채무불이행은 범죄가 아니다.
그러므로 채무불이행은 형법이 정하는 범죄의 형태에 합치하지 않든가, 또는 위법이 아니다.
채무불이행은 범죄가 아니다.
그러므로 채무불이행은 형법이 정하는 범죄의 형태에 합치하지 않든가, 또는 위법이 아니다.
(형법이 정하는 범죄형태에 합치한다) 또한 (법을 위반한다) -> (범죄이다)
A 또한 B C
(A 또한 B) 이면 C 이다.
[대우] C 가 아니면 (A 또한 B)가 아니다.
=> C 가 아니면 -> A 이거나 B 이다.
철수나 영철이가 영희에게 선물을 받는다면, 동건이는 영희에게 선물을 받을 수 없다.
영희에게 선물을 받지 못한다면, 동건이는 한눈에 보기에도 의기소침해진다.
그러므로 동건이가 의기소침해 있지 않다면, 철수가 영희에게 선물을 받지 못한 것이다.
영희에게 선물을 받지 못한다면, 동건이는 한눈에 보기에도 의기소침해진다.
그러므로 동건이가 의기소침해 있지 않다면, 철수가 영희에게 선물을 받지 못한 것이다.
(철수나 영철이가 영희에게 선물을 받는다) -> (동건이는 영희에게 선물을 받는다) 가 아니다
(A)이다 -> (B)가 아니다
[대우] (B)이다 -> (A)가 아니다
(동건이는 영희에게 선물을 받는다) -> (철수나 영철이가 영희에게 선물을 받는다)가 아니다
(동건이는 영희에게 선물을 받는다) -> (철수가 영희에게 선물을 받지 않는다) 또한 (영철이가 선물을 받지 않는다)
(영희에게 선물을 받지 못한다) -> (동건이는 한눈에 보기에도 의기소침해진다)
(B)가 아니다 -> (C)이다
(A)이다 -> (B)가 아니다 -> (C)이다
(A)이다 -> (C)이다
[대우] (C)가 아니다 -> (A)가 아니다

분류 : 공부 2008. 12. 5. 19:49
제목 : 논술을 잘하려면 논리부터 확실히!